올해 교수회는 그 어느 때보다 활발한 활동을 활동을 해 왔다. 지난 3월 소집한 ‘교권 수호 등을 위한 비상교수총회’를 시작으로 여러 차례 성명서를 발표해 학교에서 진행한 일련의 제도 개정에 관한 교수회의 입장을 밝혔다. 지난달만 해도 총장 불신임을 안건으로 하는 서울·경주 합동 교수 정기총회를 개최할 예정이었으나 총회 날짜를 하루 앞두고 학교와 협상이 타결돼 정기총회를 무기한 연기했다.
그동안 교수회가 발표한 성명서를 살펴보면, 주요내용은 학교에서 추진했던 △연구지원제도 및 연구업적평가제도 △교육업적평가 및 보상제도 △정년보장교원 호봉승급제한제도에 반대한다는 것이다. 모든 제도가 교수를 평가대상으로 삼고 있는 만큼 교수회가 교수들의 의견을 대변하는 것은 당연하다. 하지만 문제는 교수 개개인의 입장을 학교 전체의 발전보다 중요하게 여기는 데 있다. 특히 정년보장교원 호봉승급제한 제도의 경우, 정년보장교원들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우리학교를 제외한 연세대, 고려대, 한양대 등 대부분의 대학에서 이미 시행하고 있는 제도이다.
물론 학교에서 추진하는 제도변경이 완벽할 수는 없다. 따라서 교수회가 학교에서 시행한 제도변경에 대한 발전적인 대안과 의견을 제시하는 것은 바람직하나 교수회도 도입취지에는 동감하는 제도들의 시행 자체를 가로막는 것은 옳지 못하다. 또한 학교가 대화로서 교수들의 참여의식을 이끌어내지 못한 것은 잘못이지만, 몇몇 교수들이 담합 형태로 교육평가제도에 불참한 것은 교수들 역시 학교와 대화하는 것을 포기한 무책임한 행동을 한 것으로 볼 수밖에 없다.
올해 교수회에 관한 교수들의 평가는 두 가지로 엇갈린다. 하나는 교수들의 의사를 학교에 적극적으로 개진함으로써 소정의 성과를 거뒀다는 긍정적 평가이고 다른 하나는 학교와 교수들의 입장 차이를 극단적으로 몰고가 갈등을 조장했다는 부정적 평가이다. 이과대의 한 교수는 “교수처우, 연구환경 등 복지부문을 개선하는 데 좀 더 힘써줬으면 좋겠다”고 교수회에 대한 바람을 밝혔다. 또한 문과대의 한 교수는 “전체교수들의 의견을 대표하지 못하는 것이 문제라며 교수회가 체계적인 조직을 갖추는 것이 해결방법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의견을 밝혔다.
이렇듯 학교·교수회간 갈등은 어느 한 쪽만의 잘못으로 이뤄진 일이 아니다. 손뼉도 마주쳐야 소리가 나듯 두 주체 모두에게 책임이 있다. 올해가 우리학교에게 중요한 시기인 것은 모두가 알고 있는 일인 만큼 학교와 교수회가 학교발전 이라는 하나의 목표아래 서로 믿고 힘을 합쳐 난국을 이겨나가야 할 것으로 보인다.

저작권자 © 대학미디어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