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수회가 지난 달 14일 임시총회를 열고 ‘오영교 총장 중간평가 설문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총 417명의 교수 중 보직ㆍ연구년ㆍ휴직 등을 제외한 347명의 교수를 대상으로 △총장의 능력과 자질 △수요자 중심교육의 대학본질 적합여부 △구성원의 여론 수렴여부 △신설제도의 학교발전 기여도 등에 걸친 평가 결과, 항목별로 ‘부정적’, ‘부적합하다’는 의견이 평균 80%에 육박했다.

학교 행정의 최종 책임자인 총장에 대한 교수들의 반발여론은 크게 우려스럽다. 연구와 교육의 주체인 교수들이 정책 방향에 동조하지 못한다면 학교 발전은 동력을 잃기 때문이다. 총장에 대한 교수들의 반발 원인은 성과평가, 강의평가 공개 등을 통해 드러난 바와 같이 학교 당국이 교수를 개혁의 대상으로 바라봤다는 데 있다. 학교 발전의 주요한 원동력이자 개혁의 주체로 자리해야 할 교수가 개혁의 대상으로 변질되는 모양새는 분명 바람직하지 않다. 정책 책임자에 의해서 끌려가는 개혁은 한계에 부딪치기 마련이다. 교수사회가 주체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개혁 프로그램이 마련되었을 때 학교 발전은 한층 더 탄력을 받을 것이다.

물론 이 같은 변화와 발전은 교수사회 내부의 자성 노력이 함께 이뤄졌을 때 가능하다. 이번 설문조사는 총장에 대한 비판적 평가만이 아닌 중앙일보 대학평가, WCU 사업 등에서 드러난 우리대학 교수들의 미진한 연구 성과도 검토해봐야 했다. 학교 발전은 정책방향뿐 아니라 교수연구도 간과할 수 없는 부분이다. 설문조사가 아니더라도 교수회 총회 등에서 언젠가는 반드시 공론화해야 한다. 조직 스스로가 자성의 목소리를 낼 때 그 조직의 목소리가 진정한 힘을 얻을 수 있는 법이다.

이번 임시총회의 아쉬운 점은 또 있다. 건강한 비판이 이뤄지기 위한 교수들의 적극적 참여가 기본적으로 요구된다. 교수사회가 총장에 대해 비판적 태도를 보이더라도 그것이 설문조사에 그치고 구체적 참여로 이어지지 못한다면 그 의미가 퇴색될 것이다. 참석인원이 전체교수의 4분의 1에도 미치지 못하면서 의결정족수도 채우지 못하는 총회를 누가 교수들의 결속된 여론으로 생각하겠는가. 총회 자리에서도 몇몇 교수들이 정족수 부족 문제를 두고 교수사회 내부의 자성이 필요하다는 점을 제기하기도 했다. 학교 발전은 행정의 최고책임자인 총장과 연구와 교육의 주체인 교수가 같은 방향의 키를 잡았을 때 가능하다. 그러기 위해서 학교 당국과 교수회는 허심탄회하게 대화할 수 있는 자리를 하루빨리 마련하기

저작권자 © 대학미디어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