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조조정’이 캠퍼스 내에 뜨거운 감자로 떠올랐다. 지난 달 20일 ‘학과편제 및 정원조정안’이 발표된 이후 학교 곳곳에 학과 폐지와 구조조정에 반대하는 대자보가 붙어있고 해당학과의 학생들과 교수들이 크게 반발하고 있다.


요즘 대학은 특성화를 통한 경쟁력이 중요시 되고 있고 이를 위한 ‘대학 구조조정’은 자연스러운 현상이 됐다. 이런 현상은 교육부가 대학들이 특성화된 학문분야에만 초점을 맞춘 영향이 크다. 각 대학이 교육부의 지원을 받고 경쟁력을 키우기 위해서는 구조조정이 불가피하기에 학교 차원에서도 나름 고통을 감수하고 ‘뼈를 깎는 작업’을 진행할 수밖에 없는 것도 사실이다.


하지만 학과 편제의 영향을 가장 크게 받는 학생과 교수들이 추진과정에서 주축이 되지 못하고 통보를 받는 대상으로 전락해 버린 것은 우려할 만한 일이다. 학과편제 시행안을 만들기까지 추진과정에서 학생, 교수들의 의견은 어디에 수렴 됐는지 알 수 없다. 이번 시행안을 6개월의 연구기간을 거쳐 발표한 것이라고는 하지만 지난달 20일 처음으로 전체 교수들과 학생들에게 통보되고 최종 결정되기까지 주어진 기간은 겨우 한 달 남짓이다. 현재 총장과 단과대 교수, 학생회가 간담회를 갖고 있지만 시행안에 대한 입장차를 확인하는 정도에만 그치고 있다. 이번뿐만 아니라 지난 2005년 국제학과 폐지 당시에도 해당학과의 교수들과 학생들에게 일방적으로 폐과를 통보하고 학과폐지가 결정된 것이 문제점으로 지적된 바 있다. 2년이 지난 지금도 똑같은 방식으로 학과폐지와 감축이 결정되는 현 상황에서 학생과 교수들이 느끼는 반발심과 우려는 클 수밖에 없다.


또한 학과 폐지 뿐만 아니라 트랙제시행과 관련해서도 구성원들의 동의와 이해를 얻을 필요가 있다. 트랙제는 현재 체제와 확연히 다른 학부중심의 시스템이다. 트랙제 시행와 관련해 학생들과 교수들은 전혀 인지하지 못하고 있는 상황에서 트랙제를 시행하는 것은 무모할 수 있다. 시행하기에 앞서 트랙제에 대한 구성원들의 이해를 돕는 한편 시행에 관한 의견을 수렴하는 과정이 선행돼야 한다.


학내구성원의 동의와 이해를 얻지 못한 구조조정과 개혁은 의미가 없다. 구성원들은 학내 구성원들의 이해와 동의를 바탕으로 한 개혁을 통해 우리학교가 발전하기를 바란다. 개혁은 일방적인 통보가 아닌 총장의 추진력을 바탕으로 한 학내구성원간의 지속적인 협의을 통해 이뤄져야 한다.
 

저작권자 © 대학미디어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