몇 년전 어느 TV 방송국에서 ‘잘 먹고 잘 살기’라는 프로그램을 방영한 적이 있다. 최근 들어서는 웰빙(?)인가 ‘참살이’인가 하는 다른 이름으로 사람들 속으로 파고들고 있다. 옛날이야기라고 꺼내면 딴 세상 이야기처럼 생각되겠지만 식량의 절대량이 부족하여 전국적인 기근이 항상 문제되던 때가 그리 오래 전 이야기가 아니다. 물론 요즘에도 먹을 것이 없어, 부족하여 고통 받는 사람들이 아직 많이 있지만 이것은 식량 구입 능력(돈인가?)이 부족하여 발생하는 것이다. 혹자는 분배문제라고도 한다. 사회 구성원들이 나누고자 하는 적극적인 노력을 하면 해소될 성질이라고 할 수 있을까. 하지만 과거 6,70년대만 해도 식량이 부족하여 쌀밥 안 먹기(잡곡밥 먹기), 수입 밀가루 음식 먹기 등이 권장되었다. 고기를 먹는 것은 명절 때나 가능했다. 사람들은 적게 먹고, 많은 활동을 하다보니, 비만, 당뇨, 소화기 관련 암 등의 질병은 비교적 드물었다. 당시의 사람들 사진을 보면 최근의 북한 사진인가 착각할 수도 있게 한다.
그런데 요즘은 어떤가. 어린이들의 상당수가 비만 체형이고, 젊은층에서 당뇨가 급격하게 발생하고, 소화기 관련 암이 증가하여 고통 받는 사람들이 늘고 있다. 무엇이 문제인가. 사람들의 인식이 사회현상을 제대로 따라가지 못하고 있다는 증거이다. 먹는 문제는 이미 해결되었는데도 배고픔의 기억이 사람들로 하여금 과잉 섭취를 하게 한다. 몸은 현재를 살아야 하는데 머리는 과거에 얽매여 왜곡된 삶을 사는 것이다. 참살이 열풍은 이제 그 잘못을 인식하고 제대로 사는 방법을 찾기 시작한 것이다.
참살이를 통해서 우리 사회가 새로운 단계로 변화 발전할 수 있을 것인지 생각해본다. 산업혁명 이후 이백년간 인류사회는 수많은 자연자원과 문화유산을 소비해가면서 보다 풍요롭고 안전하며 충만한 생활양식을 추구해왔다. 그 결과로서 안전한 주거환경, 각종 기계 전자 장치를 누리게 되었고 의료혜택과 자유스러운 여행을 그 어느 때보다도 충실하게 즐기게 되었다(경제력이 허용한다면). 물질의 추구는 편리함을 가져다주지만 자원을 탐욕스럽게 소진하므로써 인류는 우리세대에서 끝나고 말 것이라는 종말론적 비관이 머릿속을 떠나지 않는다.
달, 화성, 또는 다른 천체에 식민지를 건설한다는 발상은 자가당착이다. 삶의 터전을 파괴하는 삶의 방식으로 어디 가서 살 수 있단 말인가. 지구를 다시 건강하게 회복하는 것을 제외한 대안은 없다. 다음 세대는 어떤 방식으로 생명과 문명을 이어갈 수 있을지 우리는 방법을 열어야 한다.
적게 먹고 적게 써야 한다. 나눠 먹고 나눠 써야 한다. 그리고 자원을 저축해야 한다. 자원을 남겨서 다음 세대가 누릴 수 있게 하는 정도로는 부족하다. 다음 세대가 세세연년 사용할 수 있는 자원의 지속적인 축적을 도모해야 한다. 우리의 전통문화유산이 바로 그 방법이다. 한반도에서 발견되는 구석기 시대 유적, 신석기 시대 유적이야말로 이 땅이 바로 자원 축적의 보고라는 증좌이다. 그리고 우리 선조는 조화로운 삶을 영위하는 방법을 터득하였고, 우주의 철리를 꿰뚫는 이론을 이미 완성해놓지 않았나.

저작권자 © 대학미디어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