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08년 동국대학교의 전신인 명진학교 1회 졸업생들이 구성한 ‘광학회’로 출발한 동국대총동창회가 어느덧 1백주년이라는 세기적 전환점에 서게 됐다.
18만 동문을 거느린 거대조직으로서 동국대총동창회의 위상과 기능은 한국사회에서 결코 적다고 볼 수 없다. 특히 올해 건학 1백주년을 맞는 동국대의 입장에서 볼 때 총동창회의 측면지원은 절실하다.

모교발전 위한 측면지원 절실

사립대학은 재학생, 교직원, 동창회 3주체가 공존하는 전당이다. 재학생과 교직원이 상아탑을 운영하는 주체라면 동창회는 상아탑이 발전할 수 있도록 감시하고 지원하는 객체라 할 수 있다. 물론 객체라고 해서 책임성이 없는 것은 아니다. 재단이사회에 총동창회 임원을 의무적으로 참여시킴으로써 자칫 소홀하기 쉬운 책임감을 부여하고 있다.
동국대를 비롯, 연세·고려·서강·한양 등 주요사립대학 총동창회 임원이 재단이사회 이사로 참여하는 이유가 이 때문이다. 대학의 형편에 따라 상황은 조금씩 다르나 대부분의 주요사립대학들은 총동창회와 매우 끈끈한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잘나가는 대학일수록 총동창회와 대학 간 긴밀도가 높다.
그렇다면 오는 5월 8일 건학 1백주년을 맞는 동국대의 상황은 어떠한가.
유감스럽게도 동국대는 대학과 총동창회가 서먹서먹하다.
코드가 맞지 않기 때문이다.

종단·재단 조율해 분쟁 없도록

동국대는 한국불교의 대표인 조계종을 재단으로 하는 종립학교로서 일반사립대와는 다른 특징을 갖고 있다. 대부분의 사립대학은 설립자가 분명한 직선구조를 갖고 있다. 따라서 설립자가 운영을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 학교의 명운이 명쾌하게 드러난다.
그러나 동국대는 그렇지 못하다. 재단인 조계종의 특성 때문이다. 조계종단은 일반인들이 볼 때 종정이나 총무원장이 모든 권한을 갖고 있는 것처럼 비춰지나 실제로는 대단히 복잡한 권력구조를 갖고 있는 다선구조이다. 일찍부터 대중공의를 존중해온 민주적 방식에 익숙한 불교의 경우는 스님들의 의견이 각양각색일 경우가 많다. 나쁘게 해석하면 일사불란함이 부족하다. 재단이사진의 2/3를 차지하는 조계종스님 이사진이 한목소리를 내지 못하는 이유가 이 때문이다.
따라서 동국대총동창회는 종단(재단)과 학교를 연결하는 가교역할을 해야 한다. 또한 종단(재단)을 조율해 종단(재단)간 또는 종단(재단) 대 학교간 분쟁의 싹을 사전에 방지하도록 노력해야 한다.
동국대 이사진의 불협화음이 최근 몇 년간 지속되고 있는 상황에서 총동창회가 제 역할을 하지 못한 것은 바로 이러한 조율기능을 담당할 준비가 되어 있지 못했기 때문이다.

인력풀 활용, 새로운 비전 제시

한국의 대표적 지식인인 조계종총무원장 지관스님은 동국대 총장을 역임했을 뿐만 아니라 총동창회 임원이기도 하다. 뿐만 아니라 종단(재단)의 많은 책임 있는 스님들이 총동창회 회원이다. 바로 이러한 특수성 때문에 동국대총동창회는 “동문들의 친목을 도모해 모교발전에 기여한다”는 설립목적 외에 종단(재단)과 학교를 잇는 가교역할을 해야 하는 임무가 주어진 것이다.
작금의 동국대는 새로운 세기를 맞는 기대와 벅찬 희망에 잠을 이룰 수 없어야 한다. 이러한 때 총동창회는 새로운 패러다임에 맞는 변화가 뒤따라야 한다.
18만 동문을 하나의 네트워크로 연결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그 속에서 재학생들의 취업, 동문간 유대와 지원책이 나올 수 있다. 인력풀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는 전문부서를 만들어야 한다.
특히 종단(재단)의 많은 스님동문을 발굴해 총동창회 및 학교운영에 자발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하는 일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학교운영의 책임을 전담하는 조계종종립학교관리위원회에 총동창회가 참여하는 방안도 신중하게 타진해 볼 필요성이 있다. 이사의 1/4을 학교운영위원회(종립학교관리위원회)에서 추천하는 인사로 선임하도록 한 개정사립학교법 개방형이사제 도입을 대비해서라도 총동창회는 종단(재단)과 학교를 유기적으로 컨트롤하는 동국중흥센터가 되어야 한다.


이만섭

인도철92졸 · 전 주간불교신문사 기자
(사)한국여성발명협회 부장
저작권자 © 대학미디어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