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젠가 한 친구가 뜸금없이 ‘우리나라에서 단 한 사람의 반대없이 지지 받을 수 있는 정책(?)이 무엇인지 아느냐’고 물었다.
답은 ‘독도는 우리 땅’이라고 한다. 그래서 그 친구는 자신이 정치를 했다면 ‘독도는 우리 땅 당(黨)’을 만들었을 것이라고 덧붙인다. 집권하는 것은 시간 문제란다. 그럴듯 하다.
그래서 필자는 ‘축구당은 어떻겠냐’고 흰소리를 더해 본다. 축구만큼 내셔날리즘이 강한 경기가 어디 있겠느냐는 것이 필자의 주장이다. 그러나 그 친구는 ‘축구당’은 안 된다고 한다. 이유인즉 ‘요즈음 축구판, 특히 감독들의 무덤이 되다시피한 한국축구를 생각해 보라는 것이다. 그도 그럴것 같다. 더욱이 대한민국 사람, 그 중에서도 절반의 남자들 대부분은 축구에 관한한 전문가라고 자처하는 지금 ‘축구당’은 택도 없는 얘기라는 것이다.
그렇다. 또 한명의 한국축구대표팀 감독이 대한민국 절반이 넘는 축구 전문가들의 여론에 밀려 또다시 중도하차했다. 본프레레 감독의 경우 자진사퇴라지만 여론에 밀린 불명예 퇴진이다.
2002 월드컵 4강 달성이라는 뚜렷한 족적을 남긴 거스 히딩크 감독의 뒤를 이었다가 기대치를 충족시키지 못한 채 1년여 만에 경질된 움베르투 코엘류 감독과 같은 경로를 본프레레도 밟은 셈이다. 코엘류, 본프레레 감독의 잇단 퇴진으로 한국 축구대표 감독직은 독배(毒杯)이고 ‘감독들의 무덤’이란 말이 나오게 됐다.
물론 4강 신화를 이뤄낸 ‘한국축구대표팀’사령탑을 맡은 감독으로서 감내해야 할 책임의 몫은 크다. 본프레레 감독은 월드컵 본선 6회 연속진출이란 성과를 거두었지만 팬들의 신뢰를 잃었다. 그동안 그를 둘러싸고 선수파악과 선수기용, 전술전략, 그리고 자기색깔 미흡 등 비판이 계속됐다. 답답한 졸전은 경질론을 확산시켜왔다. 어쨌든 거센 비난 여론에 비춰보면 ‘어쩔 수 없는 선택’이라는 설명도 나올 만은 하다.
하지만 모든 책임을 감독 한사람에게만 돌릴 수는 없다.
본프레레의 퇴진은 ‘월드컵 4강’ 이후 흔들리는 대표팀과 한국의 축구문화를 다시금 생각케 한다.
어떤 이는 “본프레레 감독의 결정적인 불운은 초딩(초등학생)과 중딩(중학생)들이 방학중에 사우디아라비아전을 치렀다는 것이다.”고 주장한다. 방학기간 컴퓨터 앞에서 똑딱거리며 감정에 치우친 글을 올린 게 본프레레 사퇴에 가장 쿤 영향을 미쳤다는 극단적인 지적이다.
그의 분석이 꼭 맞는 말은 아니겠지만, 본프레레 감독이 물러나기까지 책임지지 않는 익명의 사람들이 올린 인터넷에 올린 다수 비판의 글이 적지 않은 힘을 발휘한 것은 사실이다.
팬들의 반 본프레레 정서는 언론을 통해 확대 재생산됐고, 결국 축구협회 기술위원회는 그의 사퇴를 수용했다.
한 경기 한 경기에 일희일비하는 대한민국 축구 문화, 쉽게 달아 오르고, 책임지지 않는 익명성의 여론 등이 한국축구대표팀 감독직을 ‘무덤’으로 만들지는 않았는지 생각해 볼 일이다.

저작권자 © 대학미디어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